해외활동

해외 기구 소개

APNIC / 소개

Asia-Pacific Network Information Centre (아·태지역 IP주소 관리기구)
  • 해외활동
  • APNIC
APNIC

개요

  • 아·태지역 IP주소 및 AS번호를 할당하는 비영리 대륙별 인터넷주소자원 관리기관으로 1995년에 설립
    ※ 대륙별 인터넷주소자원 관리기관(RIR)인 AfriNIC(아프리카), APNIC(아·태), ARIN(북미), RIPE-NCC(유럽), LACNIC(남미) 중 하나
  • 대륙별 IP주소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정례회의를 연2회 개최하며, 그 외 Whois DB 운영, 인버스 DNS 운영, 교육 훈련 서비스 제공

APNIC 회원 구조

  • 회원 수 : 56개국 8,012개 ('20년 현재, Non-Member Account 미포함)
Associate Very Small Small Medium Large Very Large eXtra Large
134 3,591 3,578 500 137 46 26

APNIC 회원국가 목록

  • South Asia

    Afghanistan Bangladesh Bhutan British Indian Ocean Territory India Maldives Nepal Pakistan Sri Lanka

  • Eastern Asia

    China Dem.People's Rep. of Korea Hong Kong SAR Japan Macau Mongolia Republic of Korea Taiwan

  • Polynesia

    American Samoa Cook Islands French Polynesia Niue Pitcairn Samoa Tokelau Tonga Tuvalu Wallis and Futuna Islands

  • South-eastern Asia

    Brunei Darussalam Cambodia Lao People's Dem. Republic Malaysia Myanmar Philippines Singapore Thailand Timor-Leste Vietnam

  • Micronesia

    Fed. States of Micronesia Guam Kiribati Marshall Islands Nauru Northern Mariana Islands Palau

  • Melansia

    Fiji New Caledonia Papua New Guinea Vanuatu

  • Antarctic

    French Southern Territoriess

  • Australia & New Zealand

    Astralia New Zealand Norfolk Island

APNIC 집행이사회(Executive Council)

  • 역할 : APNIC 활동, 기능 업무 관리 및 주요 의사 결정사항 집행
    ※ APNIC 부속정관(http://www.apnic.net/publications/media-library/documents/corporate/by-laws)
  • 구성 : 8명 (※ APNIC 사무총장은 당연직 이사)
  • 출마자격 : APNIC 회원
  • 선출방법 : 회원총회에서 투표로 선출 (사전 온라인 투표/대리 투표 가능)
    ※ 주소 규모에 따라 회원기관별 투표권 수 상이
호주 인도 홍콩 중국 일본 대만 KISA
2,000여표 1,000여표 700여표 400여표 400여표 200여표 64여표
  • 임기 : 2년 (연임 가능)
    ※ 1년에 4회 집행이사회 정기회의 개최

주요 안건

  • 한국 IPv6 적용 현황 및 사례 발표
    ※ 발표주제 : 한국 무선망(LTE, WiFi)내 IPv6 적용 사례
  • 아·태지역 IP주소할당 및 관리 정책 의제 분석 및 의사결정 참여
  • 인터넷주소자원 인증시스템(RPKI) 해외 운영 현황 분석 및 협력
  • APNIC Member Meeting 참가, 이사선출 및 APNIC 활동 현황 분석